[ 네트워크 ] 윈도 10에서 네트워크 카드(NIC) MAC 주소 변경하는 방법
: Windows Tutorials/Network, Sharing
Posted by on 2016. 7. 28. 21:09
여러분이 사용하는 PC, 노트북, 태블릿, 모바일 등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모든 기기는 "MAC address"라는 물리적 주소를 가지고 있습니다.
"MAC address"는 네트워크에서 통신을 위하여 각각의 인터페이스에 할당된 고유한 식별자입니다.
여기서는 윈도 10에서 "MAC address"를 변경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 보겠습니다.
"MAC address" 확인
우선 "MAC address"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겠습니다.
"명령 프롬프트"를 이용하여 "MAC address" 확인하는 방법
1. Win + R 키를 눌러 실행 창을 열고 "CMD"를 실행하여 "명령 프롬프트"를 열어 주세요.
2. 열린 "명령 프롬프트" 창에서 다음 명령을 실행합니다.
ipconfig /all
3. 네트워크 카드(NIC) 이름을 확인 후 "물리적 주소" 부분의 16진수 6쌍 12자리 숫자로 이루어진 부분이 "MAC address"입니다.
제어판의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에서 확인하는 방법
1. Win + X 키를 눌러 "시스템 컨텍스트 메뉴"를 열고 "제어판"을 클릭 실행합니다.
2. "네트워크 및 인터넷"을 클릭하고 진입합니다.
3.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를 클릭 진입합니다.
4. "이더넷"을 클릭합니다. (만일 다수의 NIC이 존재 할 경우 이름을 확인하고 해당 이더넷을 클릭합니다)
5. "자세히"를 클릭합니다.
6. "물리적 주소" 부분의 16진수 6쌍 12자리 숫자로 이루어진 부분이 "MAC address"입니다.
"MAC address" 변경하기
"MAC address"를 변경하는 방법은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 번째 방법은 장치관리자의 네트워크 카드 속성을 편집하여 변경합니다.
두 번째 방법은 레지스트리 편집을 통하여 변경합니다.
세 번째 방법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변경합니다.
여기서는 첫 번째 장치관리자의 네트워크 카드 속성 편집하는 방법과 레지스트리 편집을 통하여 "MAC address" 를 변경하도록 하겠습니다.
장치관리자를 이용하여 "MAC address" 변경
1. Win + X 키를 눌러 "시스템 컨텍스트 메뉴"를 열고 "장치 관리자"를 클릭 실행합니다.
2. 네트워크 어댑터 항목을 찾아 더블 클릭 또는 > 부분을 클릭하여 항목을 열고 해당 NIC를 더블 클릭하여 속성 창을 열어 줍니다.
3. 고급 탭으로 이동하고 속성 항목에서 "Network address"를 찾아 클릭합니다.
("MAC address" 또는 "Physical address"로 표시될 수도 있습니다)
4. 값에 16진수 12자리의 새로운 "MAC address" 주소를 입력하고 확인합니다.
적용값이 아래 그림처럼 변경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재 로그인 과정 없이 바로 적용됨)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이용하여 "MAC address" 변경
만일 장치관리자의 속성 창에서 "MAC address"를 변경할 항목이 없다면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통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Win + R 키를 눌러 실행 창을 열고 "regedit"를 실행합니다.
2. "레지스트리 편집기"에서 아래의 위치로 이동합니다.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Class\{4d36e972-e325-11ce-bfc1-08002be10318}
3. 하위 키에서 0000, 0001, 000x를 찾아 하나씩 클릭하여 열고 오른쪽 창에서 "DriverDesc"라는 이름을 찾아 변경하고자 하는 NIC의 이름과 같은 것을 찾습니다.
4. "NetworkAddress"라는 이름을 찾고 없으면 문자열 값으로 만들어 줍니다.
(레지스트리 이름은 대소문자에 주의하세요.)
5. "NetworkAddress"를 더블 클릭으로 열고 바꿔줄 "MAC address"를 입력합니다.
6. 제어판의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를 열고 좌측의 "어댑터 설정 변경"을 클릭 이동합니다.
7. 변경한 NIC의 이더넷을 선택하고 네트워크를 "사용 안 함"으로 설정합니다.
8. "사용 안 함"으로 설정된 이더넷을 선택하고 "사용"을 설정합니다.
적용값이 아래 그림처럼 변경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원래의 "MAC address"로 복구하기
원래의 "MAC address"로 복구하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설정한 값을 제거해 주면 원래의 "MAC address"로 복구하게 됩니다.
'Windows Tutorials > Network, Sha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 Windows 10 ] 숨겨진 "공유 옵션" 설정 페이지 활성화 (0) | 2016.11.02 |
---|---|
[Windows 10] 검색 상자에서 웹검색 비활성화 (4) | 2016.10.31 |
[ Windows 10 ] 잠금 화면에서 네트워크 아이콘을 제거하는 방법 (0) | 2016.09.11 |
[ Windows 10 ] 윈도 10 최신 업데이트 후 인터넷 속도의 저하가 발생할 때 조치 사항 (9) | 2016.08.09 |
[ 네트워크 ] 윈도 10에서 네트워크 카드(NIC) MAC 주소 변경하는 방법 (3) | 2016.07.28 |
[Windows 10] 네트워크 프로 파일 이름을 변경 하는 방법 (3) | 2016.02.05 |
[FTP Server] IIS를 이용한 FTP 서버 설정하기 (2) | 2015.06.25 |
[네트워크 위치 유형] 홈(개인) 네트워크와 공용(게스트) 네트워크의 차이 (0) | 2015.06.24 |
[Windows 10] 네트워크 위치 유형 변경 방법(개인/공용) (2) | 2015.06.15 |
Playing
2016.07.29 18:40오 신기하네요
아직 어떤 쓰임새가 있을지 모르지만 어디서든 필요한 정보를 공유해주시니 머리속에 집어넣도록 노력해보겠습니다!!
관련 링크글도 봤더니 16자리 숫자의 의미도 알수 있네요!
해킹피해자
2017.09.06 15:53개인적으론 보안을 위해서 MAC address 반드시 바꾸어 주어야 하고, 그것도 주기적으로 바꿔줘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윈도우10 쓰면서 microsoft 계정을 만들고, 안드로이드폰의 Google 플레이스토어를 위해 gmail 계정도 만들었는데... Microsoft의 허술한 자격증명 보안헛점때문에 outlook, live. office, skype, xbox등 거의 모든 계정이 탈취가 되었고...
저는 발급받지도 않은 아이핀, 마이핀을 발급받고, 자동적으로 비밀번호도 생성해주고 비빌번호도 저장해주는 앱과 USB 형식의 본인인증 스마트칩까지 써서 Naver 계정도 탈취...
결국 최고관리자 권한까지 탈취하여 집에 있는 무선공유기에 한번이라도 접속한 모든 디바이스를 "좀비"로 만들어 거울보듯 내가 보는 모니터화면을 실시간으로 들여다보면서 추가로 user profiling을 위한 정보수집은 물론 물리적인 제어도 들어옴...
결국 나의 모든 컴퓨터와 노트북들은 물론... LTE 통신중인 스마트폰과 태블릿까지 모든 자원에 대한 고유정보를 도둑맞은 상태이고, 그 해커에게 볼모가 된 상태임...
지금도 집에 무선공유기 코드뽑아놓고...그 많은 기기들 놔두고, 후진 안드로이드 태블릿에서 구글계정 개설도 안하고, wifi 끄고 LTE켜놓고 독수리 타법으로 쓰고 있는 중... 이 게시글도 해결방안을 찾는 검색중에 발견한 건데, 이렇게나 길게 쓸줄은... (화도 나고, 억울하고, 힘듭니다 T.T)